학생 철학 논고: 서문, Tractatus Philosophiae Discipulus: Opening Words

3월 30일날 올린 우주정거장과 한컵’ 의 초고는 2016년 4월 8일에 쓰여졌다. 대략 1년후 공개한 저 글은, 그때부터 지금까지의 감정을 허황되고 쓸 때 없게 표현한다고 생각한다. 1년간 나는 많은 것을 느꼈다. 느끼기 밖에 더한 게 없다. 그리고 ‘우주정거장과 한컵’에 나오는 ‘위대함의 추구 속 발현되는 친구 관계의 문제점’의 해결책 중 사람과의 인연을 끊고 혼자 살아가는 방안을 채택하여 살아가고 있다. 아직도 이 방안이 유익한 결정이었는지에 관한 고민은 끊기지 않고 있다. 지난 1년간 느낀 우울한 감정들, 마음 고민들, 상처들과 미래를 바라보는 나의 모습에서 나온 결론적인 선택이라고 나는 믿고 있다. 그래서 이 많은 것들을 느끼고 생각한 바 새롭게 글을 올리려고 한다. 말 그대로 학생 철학 논고이다. (대)학생의 관점으로써 철학과 삶에 관한 나의 주장과 믿는 바를 글로 표현 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글을 너무 길고 논리적 전개가 부족했다. 이에 이번 글들은 짧고 간결하게 서술할 예정이다.

차마 내 입으로 세상의 진리를 풀어나가 고자 한다고 할 수 없기에, 나의 관점으로써, 내가 세상에 관하여 믿는 바가 얼마나 설득력이 있을까 생각하며 실험적인 글들을 적을 것이다. 최대한 기본적인 주관적 진리들을 사용하여, 내가 1년간 우울증과 삶의 목적, 도덕, 믿음, 학생의 원리, 자연의 원리에 관하여 생각한 논점들을 단계적으로 연역적으로 도출해 내고자 한다. 만약 추리된 논점들이 설득력이 있다면, 그 사이의 논리적 절차가 틀리지 않는 이상, 점차 초반의 주관적 진리들의 명제들은 객관적 진리의 모습을 띄게 될 것이다.

글의 제목과 영감은 1920년대에 독일의 위트겐스타인의 논리- 철학 논고에서 가져온 것이다. 독일군에 자원해서 전쟁터에 나가 죽음을 곁에 두고 쓴 노트 형식의 글은 한 사람의 주관적 진리로부터 철학과 언어의 표현에서의 논리적 의사전달의 객관성을 연구하여 나올 수 있는 결과들을 서술했다. 죽음과 충동적 감정 밖에 없는 그 곳에서 삶과 논리적 이성에 관해 썻다. 이와 같이 나도 사람의 관계가 끊긴 상황에서 한 사람으로써 생각의 뿌리가 어떠한 이파리를 피게 할 지 궁금하여 이 글을 쓴다.

강지훈


   The first draft of the post revealed on the 30th of March : ‘A Glass of Water over Space stations’, was written on the 8th of April 2016. The piece of writing, revealed after almost an year after the first touch, describes my feelings over the duration it was undercover for in a very pointless and illogical manner. During that year I felt a lot. In fact all I did was ‘FEEL’. On top of that,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at might arise in friendships due to our belief in greatness’ in the previous post, I have chosen the former of the two described in the post: to disconnect all human interactions and become a recluse. I am yet to confirm whether it was the right choice of solution or the right form of solution. What I can confirm is that it was a conclusive decision after the observing myself being depressed, with all the emotional pain and burden, and with the new definition on my outlook for the future. Naturally, I am writing to express what I have felt and thought undergoing those processes. One might expect emotional rambling, but I have decided to rather do the opposite and write about logic. As the title suggests, it is a treaty, a manifesto of my belief of the truth, in the point of view as a disciple of the world, a student, an ever learning being. All my blog posts until now were too long and many were rambled with weak logical links. This time I hope to write short and concise in order to stay sharp everytime I write.

  It is rather pretentious to say that I am going to try and solve the truths about this world and living in it, so rather I’d like to describe it as experimental writing in order to find out how much my point of view and logical analysis may persuade other people. Using fundamental subjective axioms of mine, I will try and inductively reach logical points based on my thoughts on depression, purpose of life, ethics, fatih, the principle of a student, and the principle of nature. If it proves to be that the reached conclusions are persuasive, as long as my logical steps are error free(which I guarantee will not be), then I can take a step towards refining my subjective axioms into realisations of objective axioms.

  The title and inspiration for this series of writing is from the German philosopher Wittgenstein’s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As a volunteer for the German army during the First World War, he wrote writings in forms of notes while there would be death around him and nothing else. Writing about how his logical basis can analyse the objectivity of philosophy and the conveyance of truth through languages, he wrote about life and thought, where there were only death and impulses. Similarly, I am writing in my state, disconnected from my old self and from human relationships, under the curiosity of how and what one’s root of thoughts may bloom into.

Jeehoon Kang